2025년 서울 다자녀 출산지원금 혜택과 신청 방법 총정리

2025년 서울 다자녀 출산지원금 혜택과 신청 방법 총정리


서울시 다자녀 출산지원금은 2자녀 이상 가정을 대상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정책입니다.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와 '다둥이행복카드'를 통해 출산, 육아, 주거 지원을 제공합니다. '서울 다자녀 출산지원금', '혜택', '신청 방법', '다둥이행복카드' 키워드로 핵심 정보를 확인하세요! 2024년 기준 둘째 이상 출생아 1명당 300만 원(첫만남이용권) 등 다양한 혜택이 있습니다.

📖 서울 다자녀 출산지원금이란?

서울시는 저출산 위기 대응을 위해 2024년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를 통해 다자녀 가정(2자녀 이상)을 지원합니다. 다자녀 기준은 2024년부터 3자녀로 완화된 2자녀로 조정되었으며, 첫만남이용권 상향, 다둥이행복카드 등으로 출산과 육아 부담을 줄입니다. 2024년 예산은 1조 7,775억 원으로, 다자녀 가정에 특화된 혜택을 강화했습니다.

💰 혜택

서울시 다자녀 출산지원금은 출산 가정과 다자녀 가정을 대상으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아래는 주요 혜택입니다.

다자녀 가정 혜택

  • 첫만남이용권: 둘째 이상 출생아 1명당 300만 원(2024년 상향,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쌍둥이의 경우 첫째 200만 원, 둘째 300만 원(총 500만 원). 2년 내 병원, 약국, 아기 용품 구매 시 사용.
  • 아동수당: 0~7세 아동 1명당 월 10만 원 지급(2025년 기준).
  • 아이돌봄 서비스: 2자녀 이상 가정에 첫째 아이 무료 돌봄 서비스(최대 100% 지원,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는 추가 10% 지원). 25개 자치구 전역 제공.
  • 산후조리 지원: 산후조리원 이용 시 자치구별 최대 100만 원 지원(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 다둥이행복카드: 2자녀 이상 가정 대상 신한·우리카드 발급(신용/체크카드 또는 모바일 앱). 협력업체(놀이시설, 병원 등)에서 5~30% 할인.
  • 주거 지원: 2세 이하 아동 포함 다자녀 가구 대상 공공분양 아파트 우선 배정(추첨제).
  • 맘편한택시·동행돌봄: 다자녀 가정 대상 택시 및 동행 돌봄 서비스(25개 자치구 확대).
  • 자녀세액공제: 8세 이상 자녀 1명당 연 15만 원, 2명 35만 원, 3명 이상은 35만 원+초과 1명당 30만 원. 출산·입양 시 추가 공제(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이상 70만 원).
  • 전기·가스요금 할인: 2자녀 이상 가구 대상 전기요금 30%(월 1.6만 원 한도), 가스요금 동절기 월 1.8만 원, 비동절기 2,470원 한도 할인.
  • K-패스 할인: 2025년부터 2자녀 30%, 3자녀 50% 대중교통 할인.
혜택 내용
첫만남이용권 둘째 이상 300만 원, 쌍둥이 500만 원
아이돌봄 서비스 첫째 아이 무료 돌봄, 최대 100% 지원
다둥이행복카드 협력업체 5~30% 할인

🛠️ 신청 방법

다자녀 출산지원금은 정부24(www.gov.kr),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자치구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합니다. 다둥이행복카드는 별도 발급 필요.

신청 절차

  • 1단계: 자격 확인
    출생신고 후 서울시 거주 여부 및 다자녀(2자녀 이상) 확인. 소득 기준은 지원별 상이(예: 아이돌봄 중위소득 150% 이하).
  • 2단계: 국민행복카드 발급
    첫만남이용권은 국민행복카드(신한, 롯데 등)로 지급. 임신 확인서(의사 소견서) 제출 후 발급.
  • 3단계: 신청서 제출
    정부24,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에서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로 신청. 출생신고, 주민등록등본, 통장사본 제출.
  • 4단계: 지원금 수령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또는 계좌로 지급. 아이돌봄은 자치구 홈페이지에서 신청.
  • 다둥이행복카드 신청
    신한·우리카드 홈페이지, 서울지갑 앱(seouli.bccard.com) 또는 서울지역 은행 방문.
단계 내용
1단계 서울 거주 및 다자녀 확인
2단계 국민행복카드 발급
3단계 정부24, 복지로, 주민센터 신청
4단계 지원금 수령(바우처/계좌)

⚠️ 유의사항

  • 신청 기한: 첫만남이용권은 출생 후 1년 내 신청. 미사용 포인트는 2년 후 소멸.
  • 사용처 제한: 국민행복카드는 병원, 약국, 지정 아기 용품점에서 사용 가능(유흥업소 제외).
  • 자치구별 추가 지원: 강남구(둘째 50만 원, 셋째 100만 원), 송파구(둘째 50만 원) 등 추가 지원금 제공.
  • 문의: 정부24(www.gov.kr), 복지로(www.bokjiro.go.kr), 다누리 헬프라인(1577-1366), 자치구 주민센터.

❓ FAQ

Q 다둥이행복카드는 어디서 발급하나요?

신한·우리카드 홈페이지, 서울지갑 앱, 또는 서울지역 신한·우리은행 영업점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Q 첫만남이용권은 언제까지 사용해야 하나요?

출생 후 2년 내 사용해야 하며, 신청은 출생 후 1년 내 완료해야 합니다.

[](https://www.gov.kr/mw/AA020InfoCappView.do?CappBizCD=17410000001)
Q 자치구별 추가 지원금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각 자치구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예: 강남구 02-3423-7111, 송파구 02-2147-2111)에 문의하세요.

서울시 다자녀 출산지원금은 첫만남이용권, 다둥이행복카드, 아이돌봄 서비스 등으로 경제적 부담을 줄입니다. 정부24(www.gov.kr) 또는 자치구 주민센터에서 신청하세요.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 공식 웹사이트(english.seoul.go.kr) 또는 다둥이행복카드 홈페이지(seouli.bccard.com)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